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개인재무관리)

내가 "개인재무관리"(a.k.a 재테크)를 하는 이유

by 고독한석사생 2025. 3. 30.

"Financial Management" 이는 한국말로 재무관리이다. 주로 우리는 재테크라고 부른다.

(재테크는 '재무(財務)'와 'tech(기술)'의 합성어다.)

 

 

오늘은 내가 왜 개인재무관리(재테크)를 하는지 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한다.

재테크
개인재무관리


 

0. 프롤로그

우리는 왜 당장 쓰지도 않는 돈을 관리할까?

 

단순히 남들이 하니까 따라 하는 게 아니라, 저축과 투자가 목적 없이 이루어지는 일은 없어야 한다.

모든 행동에는 의미가 있어야 한다. 심지어 누워서 시간을 보내는 것조차 체력을 회복한다는 중요한 이유가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행동에도 큰 의미가 숨어있는데, "개인재무관리"라는 더욱 큰 일을 생각없이 따라한다는 것은,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없다. 

 

반응형

 

1. 내가 개인재무관리(재테크)를 하는 이유

 

개인 재무관리를 하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기본적인 목적은 명확하다.

 

우리는 언젠가 은퇴하게 된다. 정년퇴직 후에는 근로소득이 끊긴다. 그때가 되면 지금까지 모아둔 자산으로 살아가야 한다.

특히 정년퇴직 후 국민연금을 받기까지 약 10년의 공백(GAP) 기간이 있다.

 

 

이 기간 동안 별다른 준비가 없다면 소득이 전혀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격차를 메우고,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 연금과 재테크를 통한 자산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내가 재무관리를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따로 있다. 나는 빨리 은퇴하기 위해 돈을 모은다.

 

 

나의 목표는 명확하다. 현재 화폐 가치 기준으로 10억~15억 원을 모으면 은퇴할 생각이다. 이 금액을 쉽게 볼 것이 아니다.

은퇴할 때까지 돈을 벌기만 해도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세후 연소득 6000만 원으로 25년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15억이 된다.)

 

 

 

 

이 금액으로 은퇴가 가능한지는 나중에 따로 다루기로 하겠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다.

 

 

 


 

 

 

1-1. 먼 미래와 심리적 안정

돈을 모으는 것은 결국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다.

한국은 노인 빈곤율이 세계적으로 높은 국가 중 하나다. 이를 인지한 이상 난 모든 케이스에 대해 대비한다.

(풍족한 노년기를 원한다 ㅋ)

 

작은 돈이라도 복리의 마법을 믿고 미래로 돈을 보내 미래를 대비하라.

 


 

내가 맨 처음 말했던 목표 금액에 도달하더라도, 당장 은퇴할지 안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꽤 오랜시간 뒤, 미래의 사건에 100%라고 단언하지마라.(시계 발명자도 모르는 일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명확한 목표를 설정해야 행동의 변화와 실천이 따른다는 점이다.

 

 

 

목표한 금액이 차곡차곡 쌓이는 모습을 보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낀다.

예상보다 더 빨리 목표를 달성했다면 그날은 소고기 파티다.

 

 

 

난 내적 갈등 및 감정에 좀 예민하다.

결국 내 마음의 평화를 위해 자연스럽게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이 되었다.

 

 

 

 

1-2. 자유로움

돈을 모은다는 것은 단순히 collecting의 의미가 아니라, "자유로움" 얻는다는 큰 의의가 있다.

 

이는 하고 싶은 일이 있어도 돈 때문에 하지 못하는 상황을 피하는 것과 같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현재의 욕구를 참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모든 걸 다 하면서 사는 건 이재용 정도 되어야 가능하다.)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과 '미래를 위해 참아야 할 것'을 구분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현명한 선택을 하면, 미래의 자유를 확보하는 동시에 현재의 삶도 만족스럽게 보낼 수 있다.

("지금 할 수 있는 것"과 "참아야 할 것"을 지혜롭게 분리하라.)

 

 

이는 단순한 저축과 투자를 넘어, 내 인생 전체의 설계와도 직결된다. 자연스럽게 다양한 관점에서 미래를 고민하고 대비하게 된다.


 

최종 목표 금액의 70% 도달 시점에는 다양한 일을 좀 해보고 싶다.

한 가지 직업에 얽매이지 않고 여러 직장을 돌아다니며 새로운 시야를 넓히는 것도 흥미로운 경험이 될 것이다.

(그 때되면 그냥 짱박혀서 쉬고 싶을지도..) 

 

 

목표 금액을 세분화하면 더 명확한 동기 부여가 된다. 예를 들어, 1억을 목표로 한다면 3000만 원 단위로 나누어 관리하면 모으는 과정이 훨씬 즐겁고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다.

 

 

나는 현재 3년 안에 1억을 모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연차가 올라갈수록 목표 금액을 점점 늘려, 40세까지 6억 원을 모을 계획이다. (1억을 모으면 그 이후부터는 돈이 불어나는 속도가 빨라진다 ㅋ)

 

 


 

 

나는 요즘 소비 습관을 정리하면서 하고 싶은 일들을 즐기면서도 자연스럽게 미래의 자유를 위해 투자하고 있다.

나처럼 스스로를 점검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추천한다.

 

 

반응형